Lee Joowon

“By covering the clothes, an invisible sense of unity and group was formed, and the power of locals to categorize people was greater than expected.” Lee Joowoon based in Seoul walks in Seoul and observes people who fill the streets alone. The images extracted from the streets by him are entirely human groups, and in their current state, they can only be guessed by the clothes they are wearing. He intuitively expresses the colors and seasons of the city he sensed, and furthermore,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flow of culture. Looking at the work the artist has collaborated with brands such as Off-White and Adidas, people of various skin colors appear on the canvas in the fashion pictorials of domestic and foreign models. Because of this,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Korean things” and “Exotic things” in the hi’s work. For a contemporary artist, skin color itself is not an item that needs discussion, and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people from a group is their fashion.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language, their fashion, which i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neighbors and reflects their individual tastes, makes the streets come alive. This may be the reason why many brands want to collaborate with his work, as well as fashion brands. The people who appear in the work are depicted even with the logo of the small patch attached to the bag, but their facial expressions are unknown. In his work, human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which are kind to each other but keep an absolute distance that cannot be approached. For this reason, each work is created because people wear clothes of the same brand, similar color, or fashion, but each object is easily recognized as a unique existence.

“옷을 덮음으로써 보이지 않는 동질감과 무리가 형성되고, 사람들을 카테고리화 하는 로컬의 힘은 생각보다 컸다.” 서울을 베이스로 활동하는 작가는 서울을 걸으며 홀로 거리를 메운 사람들을 관찰한다. 작가가 거리로부터 추출한 이미지는 오롯한 인간 군상이며, 현상태에서는 그들이 걸친 옷으로만 그들을 추측할 수 있다. 그는 감각했던 도시의 색감과 계절, 나아가 시대적 상황과 문화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현한다. 작가가 오프화이트, 아디다스 등의 브랜드와 협업했던 작업을 살펴보면, 국내외 모델들의 패션화보에서 모델들의 다양한 피부색의 사람들이 화면에 등장한다. 이 때문에 작가의 작업에서 “한국적인 것”과 “이국적인 것”을 구별하기 쉽지 않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에게 피부색 자체는 논의가 필요한 항목이 아니며, 그에게 무리에서 사람들을 구별할 기준은 그들의 패션이다. 국적이나 언어에 관계없이 환경과 이웃에 영향을 받고, 나아가 각자의 취향이 반영된 그들의 패션이 거리를 살아 숨쉬게 한다. 패션 브랜드는 물론이고 그의 작업과 협업하고자 하는 브랜드가 많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작품 속 등장하는 사람들은, 가방에 달린 작은 패치의 로고까지 묘사가 되어있지만, 얼굴 표정을 알 수 없다. 그의 작품에서는 서로에게 친절하지만 절대적으로 가까워질 수 없는 거리를 두는 현대사회의 인간관계가 스친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같은 브랜드, 비슷한 색감, 혹은 유행에 따른 옷을 입었기 때문에 하나의 화면을 만들지만, 또 각 개체가 고유 존재로 쉬이 인식되는 것이다.


Selected Works

Contact with us


Open hours 10am-6pm / Closed mon

Telephone  +82-2-725-6810

Email  art_sy@azulejo.gallery

Instagram  @azulejo_gallery

Address  10, Samseong-ro 149-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아줄레주갤러리 사업자 등록번호553-65-00181  대표자 : 박서영 ⓒ 2018 AZULEJO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