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ak Sooyoung compromises all memories by expressing ambiguously. Every objects and characters is described realistically and in detail, but it could not been figured out exactly what it is. Specific narrative was disappeared and a difference scene mad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color is revealed. It is same intention that he draws images on the canvas from his memories without photographs or other references. Recently, reading philosophy and classical literature, he resembles the images and thoughts with memories of the past. Memories from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cultural things surrounding him provide clues in that they are works with an unclear end to end, as they are based on reality.
곽수영은 기억을 재구성하여 모호한 분위기를 표현한다. 사물과 인물은 사실적이고 세세하게 묘사되었지만 지칭되지는 않는다. 특정한 서사는 지워지고 형상과 색의 관계로 만들어지는 장면은 새로운 차이로 드러난다. 사진이나 참고 자료 없이 기억에서 만들어낸 이미지를 캔버스에 그려내는 것 또한 그러한 의도이다. 최근에는 철학, 고전 소설을 읽으며 이미지와 떠오른 생각을 과거 기억과 결합한다. 작가의 개인 경험과 주변에서 습득한 문화적인 기억은 모두 현실을 기반으로 한 만들어진 이미지로, 처음과 끝이 명확하지 않은 파편이 되어 단서를 제공한다.